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에 관한 내용입니다. 성남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교통약자콜택시를 보유한 지자체로, 법정 기준보다 2배나 많은 80대의 차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06년 3월부터 시작된 이 서비스는 성남시내버스(주)택시사업부가 운영하고 있으며,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기도 했습니다. 성남시의 교통약자 지원 정책은 전국적으로도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성남시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개요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는 2006년 3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현재 성남시내버스(주)택시사업부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10대의 차량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총 80대의 교통약자 전용 차량을 보유하고 있어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교통약자콜택시 확보 대수의 법정 기준이 1·2급 장애인 200명당 1대인데, 성남시의 경우 1·2급 장애인이 8,040명으로 법정 기준은 40대이지만 실제로는 2배인 80대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성남시가 교통약자 복지에 얼마나 많은 관심과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용 대상 및 등록 방법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의 이용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장애정도가 심한 보행상 장애인이 주요 대상이며, 복지카드 또는 장애인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보행상 장애 표준 기준표상 ○ 해당자는 장애인증명서만으로 충분하지만, △ 해당자는 장애정도 심사결과 통보서 또는 보행상 장애판정을 증빙할 수 있는 공공기관 발급 서류가 필요합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휠체어 탑승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에서 발급한 진단서를 제출해야 하며, 진단서에는 휠체어 이용과 대중교통 이용이 어렵다는 명시적 문구,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 불가 기간이 숫자로 명시되어야 합니다. 최대 5년까지 인정되며, 기간이 명시되지 않으면 진단서 발급일로부터 6개월만 이용 가능합니다.
접수 및 예약 방법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의 차량 접수는 여러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전화 접수로, 031-748-1158 또는 1577-1158로 연락하면 됩니다. 온라인으로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즉시콜만 접수할 수 있으며, 병원 사전예약은 반드시 전화로 접수해야 합니다.
전화걸기 (031-748-1158)접수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바로콜은 필요한 시각에 바로 접수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첫 차 시각은 오전 7시부터입니다. 전일접수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정도가 심한 지체, 뇌병변 장애인 및 휠체어를 이용하는 1~2급 국가유공자만 이용 가능하며, 07시, 08시, 10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기접수는 정기적으로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출발지에서 동일한 목적지로 이동하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로, 최소 1개월부터 최장 6개월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운행 지역 및 이용 요금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의 운행 지역은 경기도 전역과 서울, 인천입니다. 다만, 왕복 운행은 불가능하며, 편도 이용만 가능합니다. 2019년 기준으로 성남시에서 교통약자콜택시 운행 횟수는 20만 회를 넘어섰을 정도로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용 요금은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기본 요금은 10km까지 1,500원이며, 이후 144m당 50원이 가산됩니다. 야간 할증과 시외 요금은 각각 20%가 합산되어 적용됩니다. 일반 택시에 비해 매우 저렴한 요금으로 설정되어 있어 교통약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덜어주고 있습니다.
운영 시간 및 서비스 특징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는 24시간 운영되어 응급상황이나 긴급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차량은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슬로프형 차량으로, 교통약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성남시는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하이브리드 차량 33대를 도입하여 환경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노후 차량 29대를 신규 차량으로 교체하여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택시 바우처 서비스
성남시는 2019년 11월 25일부터 장애인 택시바우처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에게 택시 이용요금의 65%를 성남시에서 지원하는 복지사업입니다. 성남시에 등록된 택시를 이용한 후 신한장애인 복지카드로 결제하면 요금의 35%만 청구됩니다.
당초 2022년에 계획되었던 확대 대상을 2년 앞당겨 2020년 5월 1일부터 장애의 정도가 심한 뇌병변·지체 장애인 4,981명도 포함하여 확대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총 6,839명이 혜택을 받고 있으며, 성남시는 내년에는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13,359명 모두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성남시 교통약자 지원 정책의 성과
성남시의 교통약자 지원 정책은 전국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24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선정받았으며, 이는 성남시의 교통약자 복지 정책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성남시는 또한 전국 최초로 마을버스 노선에 전기저상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 200대의 친환경 전기저상버스를 구매하여 운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종합적으로 평가받아 전국 최우수 등급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들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는 어떻게 이용할 수 있나요?
전화(031-748-1158 또는 1577-1158)나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는 즉시콜만 가능하며, 병원 사전예약은 전화로만 접수됩니다.
이용 요금은 얼마인가요?
기본 요금은 10km까지 1,500원이며, 이후 144m당 50원이 가산됩니다. 야간 할증과 시외 요금은 각각 20%가 추가됩니다.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장애정도가 심한 보행상 장애인과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휠체어 탑승자가 주요 대상입니다. 관련 서류를 제출하여 등록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운행 지역은 어디까지인가요?
경기도 전역과 서울, 인천까지 운행됩니다. 다만 왕복 운행은 불가능하며 편도 이용만 가능합니다.
24시간 이용이 가능한가요?
네,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는 24시간 운영되어 응급상황이나 긴급한 이동 시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몇 명까지 동승할 수 있나요?
휠체어 이용 시 고객 외 3명까지, 휠체어 미이용 시 고객 외 2명까지 동승 가능합니다.
예약은 언제부터 할 수 있나요?
바로콜은 필요한 시각에 바로 접수하며, 전일접수는 신청 시각의 24시간 전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장애인 택시바우처는 무엇인가요?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에게 택시 이용요금의 65%를 성남시에서 지원하는 복지사업입니다. 신한장애인 복지카드로 결제하면 35%만 청구됩니다.
차량은 몇 대나 운영되고 있나요?
현재 총 80대의 교통약자 전용 차량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법정 기준의 2배에 해당하는 전국 최대 규모입니다.
홈페이지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www.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kr에서 자세한 정보와 온라인 접수를 할 수 있습니다.
정기접수는 어떤 서비스인가요?
정기적으로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출발지에서 동일한 목적지로 이동하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로, 최소 1개월부터 최장 6개월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차량 내부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모든 차량은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슬로프형 차량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결론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는 전국에서 가장 모범적인 교통약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법정 기준의 2배에 달하는 80대의 차량 운영, 24시간 서비스 제공, 저렴한 이용 요금, 그리고 장애인 택시바우처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을 통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적극적으로 보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은 것도 이러한 노력들이 인정받은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성남시는 친환경 차량 도입과 서비스 확대를 통해 더욱 발전된 교통약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성남시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홈페이지 이동


